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청년 도약 계좌 기여금이 확대 됩니다.

by curvedspoon 2025. 2. 3.
반응형

 

청년도약계좌는 누적 157만명이 가입한 정부가 밀어주는 최고의 청년 적금 상품입니다. 

 

누구나 가입이 가능한 상품이 아닌 '청년'만 가입이 가능한데, 우리나라 대상자는 약 600만명으로 추산 됩니다.

 

청년 600만명 중 157만명이 가입을 한 청년도약 계좌는 4명중 1명은 가지고 있는 계좌이며, 그 만큼 청년들의 자산 증식에 도움이 되는 상품이란 뜻이기도 합니다. 

 

청년의 기준은 군복무 기간 차감하고 19세 ~ 34세를 청년으로 정의합니다. 

 

이런 청년도약계좌가 2025년에 좀 더 많은 혜택을 부여하게 되었는데요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 

 

연 소득구간의 기준에 따라 차등된 '기여금'을 지급해 적금 이율에 플러스 이율을 더해주는 상품.

☞ 기여금은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했을 시 지급되는 추가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만기 시 = 은행이자 + 비과세혜택 + 정부 기여금.

 

월 최대 70만원까지 저축 가능.

 

5년 만기 자유적립식 적금.

 

금리는 은행별 자율 결정 전제조건이지만 대부분 3년 고정, 2년 변동으로 설계.

 

 

연 소득 구간은 4개의 구간으로 나뉨.

 

1. 2,400만원 이하.

2. 2,400만원 초과 ~ 3,600만원 이하.

3. 3,600만원 초과 ~ 4,800만원 이하.

4. 4,800만원 초과 ~ 6,000만원 이하.

 

구간에 따라 매월 저축 상한선을 두고 기여금을 제공한다. 

 

1구간은 매월 40만원까지 저축에 대해 6.0% 기여금 지급. (2.4만원)

2구간은 매월 50만원까지 저축에 대해 4.6% 기여금 지급. (2.3만원)

3구간은 매월 60만원까지 저축에 대해 3.7% 기여금 지급. (2.2만원)

4구간은 매월 70만원까지 저축에 대해 3.0% 기여금 지급. (2.1만원)

 


2. 청년도약계좌 단점.

 

정부의 좋은 정책에도 불구하고 청년들 입장에서는 가입을 꺼려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5년이라는 긴 시간으로 중간 해약 시 리스크가 있음.

둘째, 월 최대 70만원 저축을 해도 구간별 기여금 적용 한도가 있어 아쉬움.

 

 5년 만기 상품은 청년들에게는 매우 긴 시간이며, 결혼 등 목돈이 들어갈 수 있는 상황에 자금에 대한 흐름이 막힐 수 있어 좋은 조건인줄 알지만 가입을 기피하는 청년들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중도 해지시 모든 받았던 혜택을 토해내야 하는 것이 단점이었습니다.

 

한달 70만원을 저축해도 연 소득에 따른 구간이 있어 최대 기여금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적금설계로 아쉬움도 있었습니다. 

 

 


3. 2025년 청년도약계좌 변경점.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2025년부터는 몇몇 단점을 보완하게 되었습니다. 매우 긍정적 변화인데요 그동안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주저했다면 다시 생각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변화되는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기여금 지원이 확대.

둘째.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강화.

셋째. 성실 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

넷째. 부분인출 서비스 이용 가능.

 

 

첫째. 기여금 지원 확대.

 

연 소득 구간별 기여금 최대 수령 한도가 모두 같아졌습니다.

매월 최대 3만3천원씩 기여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매월 70만원 저축시 가능!)

 

출처: 서민금융진흥원

 

 

출처: 금융위원회

 

둘째. 3년 이상 유지시 혜택 강화

 

적금을 3년 이상 유지 시 중도해약해도 기여금,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어 5년 적금의 부담감을 감소시켰습니다. 

 

3년 유지시 연 7.64%의 적금 상품을 해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출처: 서민금융진흥원

 

셋째.  성실 납입 시 개인신용평가 가점 부여

 

우리가 은행 대출 시 보는 신용평가 점수를 2년 이상 적금 유지 시 최소 5점, 최대 10점을 부여한다고 합니다. 

 

 

넷째. 부분인출 서비스 허용.

 

만기 전 부분인출이 가능해졌습니다. 

 

다만, 2년 이상 휴지한 경우 납입 원금의 40% 이내에서 가능합니다. 

 

 


 

마치며

 

청년도약계좌의 취지는 청년의 자산형성을 돕기 위한 목표를 가지고 나라에서 밀어주는 적금 상품입니다. 

2025년 더 좋은 혜택과 기여금을 받을 수 있게 변경되었으니, 아직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할 수 있는 조건이면서 미 가입중이라면 빠르게 고민하시고 선택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아무때나 가입이 되지 않으며, 매달 신청, 가입 할 수 있는 날이 지정되어 있어 미리미리 확인하고 준비 하셔야 다음달, 그다음달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시간과 돈은 비례하기에 매우 중요한 포인트 입니다.!

 

 

참고로 2025년 2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일정도 올려드리며 마치겠습니다. 

반응형